라마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마 5세는 1853년 몽꿋 왕과 데브시린드라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시암의 국왕으로, 본명은 쭐랄롱꼰이다. 그는 서구식 교육을 받았으며, 부왕의 사망 이후 15세의 나이로 즉위했으나 섭정의 통치를 받았다. 1873년 두 번째 대관식을 치른 후, 부패한 세금 징수 개혁, 국무원 및 추밀원 설립 등 초기 개혁을 시작했다. 이후 차크리 개혁을 통해 노예 매매 폐지, 중앙 집권 국가 건설, 관료제 도입, 학교 교육 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대화를 추진했다. 그는 1907년 유럽 방문 중 신장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 쭐랄롱꼰 대학교, 쭐랄롱꼰 국왕 기념 병원 등 여러 기념물과 사업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계 태국인 - 차왈릿 용짜이윳
차왈릿 용짜이윳은 태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육군 참모총장과 군 최고 사령관을 거쳐 1996년부터 1997년까지 태국 총리를 지냈으며, 퇴역 후 신희망당을 창당하고 탁신 친나왓 정부에서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 쭐랄롱꼰 - 프라차티뽁
라마 5세의 아들이자 라마 7세인 프라차티뽁은 영국에서 교육받고 군 복무 후 왕위에 올라 재정난과 민주화 요구 속에서 입헌군주제를 수용하려 했으나 인민당과의 갈등으로 퇴위, 망명하여 생을 마감하며 태국 절대군주제의 종말을 가져왔다. - 쭐랄롱꼰 - 와치라웃
와치라웃은 태국 짜크리 왕조의 제6대 국왕(라마 6세)으로, 해외 유학을 한 최초의 국왕으로서 차크리 개혁을 추진, 교육 및 군사 개혁을 단행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시암을 연합국으로 참전시키는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으나, 재정 관리 부실과 후계 문제 소홀함으로 비판받았으며 복잡한 가족 관계, 문학 활동, 쿠데타 미수 사건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 태국 국왕 - 프라차티뽁
라마 5세의 아들이자 라마 7세인 프라차티뽁은 영국에서 교육받고 군 복무 후 왕위에 올라 재정난과 민주화 요구 속에서 입헌군주제를 수용하려 했으나 인민당과의 갈등으로 퇴위, 망명하여 생을 마감하며 태국 절대군주제의 종말을 가져왔다. - 태국 국왕 - 아난타 마히돈
아난타 마히돈은 태국의 차크리 왕조 제8대 국왕(라마 8세)으로, 해외에서 유년기를 보내다 9세에 즉위했으나 의문의 총기 사고로 사망하여 그의 삶과 죽음은 태국 근현대사의 정치적 혼란과 왕권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라마 5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쭐랄롱꼰 "Chulalongkon" (로마자 표기) |
왕조 | 짜끄리 왕조 |
재위 | 1868년 10월 1일 – 1910년 10월 23일 |
대관식 | 1868년 11월 11일 (첫 번째) 1873년 11월 16일 (두 번째) |
출생일 | 1853년 9월 20일 |
출생지 | 방콕, 라따나꼬신 왕국 (1782–1932) |
사망일 | 1910년 10월 23일 |
사망지 | 방콕, 시암 |
종교 | 상좌부 불교 |
![]() | |
칭호 및 직책 | |
왕국 | 시암 국왕 |
다른 이름 | 쭐랄롱꼰 (어린 시절 이름) 프라밧솜뎃 프라빠라민 마하 쭐랄롱꼰 프라쭐라쫌끌라오 짜오유후아 프라삐야마하라랏 |
통치 | |
섭정 | 스리 수리웡세 (1868–1873) |
부왕 | 위차이찬 (1868–1885) |
선왕 | 몽꿋 (라마 4세) |
후왕 | 와치라웃 (라마 6세) |
가족 | |
아버지 | 몽꿋 (라마 4세) |
어머니 | 뎁시린드라 |
배우자 | 수난다 쿠마리라타나 수쿠말라 마라스리 사왕 와타나 사오바파 퐁시 그 외 5명의 배우자 143명의 후궁 |
자녀 | 와치룬히스, 왕세자 와치라웃 (라마 6세) 마히돌 아둔야뎃, 송클라 왕자 쁘라차디폭 (라마 7세) |
군사 경력 | |
소속 | 시암군 |
복무 기간 | 1868년 ~ 1910년 |
계급 | [[파일:RTA OF-10 (Field Marshal).svg|15px]] 원수 [[파일:RTN OF-10 (Admiral of the Fleet).svg|15px]] 원수 |
지휘 | 총사령관 |
참전 | 호우 전쟁 프랑스-시암 전쟁 |
훈장 | |
훈장 | [[파일:Order of the Royal House of Chakri (Thailand) ribbon.svg|x20px]] [[파일:Order of the Nine Gems (Thailand) ribbon.svg|x20px]] [[파일:Order of Chula Chom Klao - Special Class (Thailand) ribbon.svg|x24px]] [[파일:Order of the White Elephant - Special Class (Thailand) ribbon.svg|x22px]] [[파일:Order of the Crown of Thailand - 1st Class (Thailand) ribbon.svg|x24px]] [[파일:Haw Campaign Medal (Thailand) ribbon.png|x20px]] [[파일:Dushdi Mala - Military (Thailand).svg|x20px]] [[파일:Chakra Mala Medal (Thailand) ribbon.svg|x20px]] [[파일:Pushpa Mala Medal (Thailand) ribbon.png|x20px]] [[파일:King Rama IV Royal Cypher Medal (Thailand) ribbon.svg|x18px]] [[파일:King Rama V Royal Cypher Medal (Thailand) ribbon.svg|x19px]] [[파일:King Rama V Rajaruchi Medal (Thailand) ribbon.png|x20px]] [[파일:Ord.S.Stef.Ungh. - GC.png|x18px]] [[파일:JPN Daikun'i kikkasho BAR.svg|x19px]] [[파일:Order of the Elephant Ribbon bar.svg|x18px]] [[파일:Cavaliere di gran Croce Regno SSML BAR.svg|x19px]] [[파일:Order of the Most Holy Annunciation BAR.svg|x18px]] [[파일:Order St. Andrew (Russia) ribbon.svg|x18px]] [[파일:Order of the Black Eagle - Ribbon bar.svg|x18px]] [[파일:Royal Order of Kamehameha I Grand Cross.gif|x20px]] [[파일:Order of the Seraphim - Ribbon bar.svg|x18px]] |
기타 | |
저서 | 「고족의 숲」 |
관련 자료 | [[파일:commons-logo.svg|12px|위키미디어 공용]] 위키미디어 공용에는 쭐랄롱꼰 관련 멀티미디어 및 분류가 있습니다. |
2. 어린 시절
쭐랄롱꼰은 1853년 9월 20일 몽꿋 왕과 뎁시리인드라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왕자 때의 이름이다. 1861년 ‘끄롬마메운 삐까네수안 수랏상깟’이라는 직위를 받았다. 그의 부왕은 안나 레오노웬즈와 같은 유럽인 교사를 붙여 폭넓은 교육 기회를 주었다. 1866년 왕가의 전통에 따라 왓 바원니웻에서 수도승이 되었으며, 1867년 복귀 후 ‘끄롬 마쿤 삐닛 쁘라차낫’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1868년 몽꿋 왕은 일식 관측을 위해 왓코르에 방문했다가 병에 걸려 "내 형제, 내 아들, 내 손자, 나라를 구하려고 생각하는 지도자 모두가 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스스로의 의지로 결정하라!"라는 유언을 남겼다. 당시 15살이었던 쭐랄롱꼰 왕자가 왕으로 선택되었고, 차오 프라야 시 수리야웡세가 섭정으로 선택되었다. 쭐랄롱꼰의 즉위식은 1868년 11월 11일에 거행되었다.
2. 1. 출생과 교육
1853년 9월 20일 몽꿋 왕과 뎁시리인드라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왕자 때의 이름은 쭐랄롱꼰이다. 1861년 ‘끄롬마메운 삐까네수안 수랏상깟’(Krommameun Pikanesuarn Surasangkat)이라는 직위를 받았다. 그의 부왕은 안나 레오노웬즈와 같은 유럽인 교사를 붙여 폭넓은 교육 기회를 주었다. 1862년 8월부터 1867년까지 레오노웬스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이 기간 동안 레오노웬스의 아들 루이 레오노웬스와 친구가 되었다. 루이는 쭐랄롱꼰보다 두 살 어렸는데, 둘의 우정은 성인이 된 후에도 계속되었으며, 쭐랄롱꼰은 시암에서 루이의 사업을 도왔다.[1]1866년 왕실 전통에 따라 왓 바원니웻에서 6개월 동안 수행승이 되었다.[2] 1867년 속세로 돌아온 후, 크롬마쿤 피닛 프라차낫(กรมขุนพินิตประชานาถth)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2. 2. 부왕의 죽음과 즉위
1853년 9월 20일에 몽꿋 왕과 데브시리인드라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쭐랄롱꼰은 1861년 ‘끄롬마메운 삐까네수안 수랏상깟’이라는 직위를 부여받았다. 안나 레오노웬즈와 같은 유럽인 교사에게 교육을 받았다. 1866년 왕가의 전통에 따라 왓 바원니웻에서 수도승 생활을 하였고, 1867년 복귀 후 ‘끄롬 마쿤 삐닛 쁘라차낫’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868년 몽꿋 왕은 일식 관측을 위해 왓코르에 방문했다가 병에 걸렸다. 몽꿋 왕은 "내 형제, 내 아들, 내 손자, 나라를 구하려고 생각하는 지도자 모두가 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스스로의 의지로 결정하라!"라는 유언을 남겼다. 당시 15살이었던 쭐랄롱꼰 왕자가 왕으로 선택되었고, 차오 프라야 시 수리야웡세가 섭정으로 선택되었다. 쭐랄롱꼰의 즉위식은 1868년 11월 11일에 거행되었다.[1][2][3][4]
3. 젊은 왕
쭐랄롱꼰은 사방 바드하나, 사오밥하, 수난다, 수꾸말마르스리 등 자신의 이복 누이 4명과 결혼했다.
같은 해, 쭐랄롱꼰의 첫 번째 개혁은 부패한 세금 징수로 인한 폐단을 막기 위해 감찰관을 세운 것이었다. 그러나 세금 징수관은 여러 귀족들의 후원을 받았고, 귀족들 또한 재정적인 지원을 하여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3. 1. 섭정 정치와 두 번째 대관식
1873년 라마 5세는 다시 승려가 되었다가 돌아왔다. 같은 해, 그의 성년을 축하하기 위해 두 번째 대관식이 거행되었다.섭정이 끝나자, 시 수리야원세는 솜뎃 차오 프라야로 격상되었는데, 이것은 대신들이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위였다. 시 수리야원세는 19세기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귀족이었다. 그의 분나그 가문은 라마 1세 이후로 시암의 정치를 좌우했던 페르시아 후손 계열의 강력한 가문이었다. 쭐랄롱꼰은 이복 동생 네 명(사방 바드하나, 사오밥하, 수난다, 수꾸말마르스리)과 결혼했으며, 그들은 모두 쭐랄롱꼰 왕의 딸들이었다.
같은 해 쭐랄롱꼰의 첫 번째 개혁은 부패한 세금 징수로 인한 폐단을 고치기 위한 감찰관을 세움으로써 시작되었다. 세금 징수관은 여러 귀족들의 후원을 받았고, 그들은 또한 재정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었다.
어린 쭐랄롱꼰은 열정적인 개혁가였다. 그는 1870년에 싱가포르와 자바를, 1872년에는 영국령 인도를 방문하여 영국 식민지의 행정을 연구했다. 그는 1872년 초 캘커타, 델리, 봄베이를 거쳐 다시 캘커타로 돌아오는 여정 동안 행정 중심지를 둘러보았다. 이 여정은 그가 후에 시암을 근대화하기 위한 아이디어의 원천이 되었다. 그는 1873년 11월 16일에 라마 5세로서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5]
그 후 시 수리야원세는 왕궁을 핑클라오 국왕(그의 삼촌)의 아들인 위차이찬 왕자(쭐랄롱꼰의 사촌)에게 상속되도록 조치했다.
섭정으로서 시 수리야원세는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몽꿋 국왕의 사업을 계속 이어나갔다. 그는 파뚱 크룽카셈과 담느언 사두악과 같은 몇몇 중요한 크롱의 준설과 차로엔 크룽과 실롬과 같은 도로 포장을 감독했다. 그는 또한 태국 문학과 공연 예술의 후원자였다.
3. 2. 초기 개혁
1873년 쭐랄롱꼰은 승려가 되었다가 돌아온 후, 성년을 기념하기 위한 두 번째 대관식을 치렀다.[6] 섭정이 끝나면서, 시 수리야원세는 솜뎃 차오 프라야로 봉해졌는데, 이는 귀족이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칭호였다. 시 수리야원세는 19세기 가장 강력한 귀족 가문인 분낙 가문 출신으로, 이 가문은 라마 1세 이후 시암 정치를 좌우해왔다.[6] 쭐랄롱꼰은 사왕 와다나, 사오바 파퐁시리, 수난다 쿠마리라타나, 숙후말라 마라스리 등 자신의 이복 누이 4명과 결혼했다.쭐랄롱꼰의 첫 개혁은 1873년 세금 징수 전담 기관인 "청문소"(태국어: หอรัษฎากรพิพัฒน์)를 설립한 것이었다.[7] 이는 분낙 가문의 영향력에 맞서기 위한 조치였다.[8] 세금 징수관들은 귀족들의 비호 아래 부를 축적해왔기 때문에, 이 개혁은 귀족들, 특히 전궁의 불만을 샀다. 쭐랄롱꼰은 차뚜론라스미를 책임자로 임명하여 기구를 감독했다.[9]
1874년, 쭐랄롱꼰은 영국의 추밀원을 본떠 국무원과 추밀원을 설립했다. 국무원 위원은 국왕이 임명했다.
1874년 12월 28일 밤, 왕궁 내 화약고와 가스 공장 근처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전궁 군대가 진압을 위해 도착했으나 입장을 거부당했고, 결국 다른 이들이 화재를 진압했다.[10] 이 사건은 귀족과 왕족 친척들의 권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쭐랄롱꼰은 귀족 세력 축소를 개혁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게 되었다.
1885년 요디잉욧 왕자가 사망하자, 쭐랄롱꼰 국왕은 전궁을 폐지하고 서구식 샴 왕세자 칭호를 만들었다. 바지룬히스(Vajirunhis) 왕자가 초대 샴 왕세자로 임명되었으나, 1895년 16세에 장티푸스로 사망하여 왕위에 오르지 못했다. 이후 영국 기숙학교에 있던 이복형제 바지라부드(Vajiravudh)가 왕세자 자리를 이었다.
4. 차크리 개혁
쭐랄롱껀 대왕(라마 5세)은 즉위 직후 유럽과 미국을 시찰하며 태국의 후진성을 절감하고, 차크리 개혁이라 불리는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다.[11] 이는 태국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되며, 쭐랄롱껀은 태국 3대 왕 중 한 명으로 현재까지도 국민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그의 초상화는 목걸이와 포스터로 제작되고, 동상은 불단에 모셔질 정도이다. 1999년에는 미국의 타임지에서 "이 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인 2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차크리 개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분야 | 내용 |
---|---|
사회 | 오랜 시간에 걸쳐 노예 매매를 폐지하였다. 이 업적으로 라마 5세(พระปิยมหาราชเจ้าth)라는 칭호를 받았다. 아난타 사마꼼 궁전에 노예 해방 그림이 남아 있다. |
정치 | 각 지역의 왕을 폐지하고 중앙집권 국가를 건설하였다. 관료제를 도입하여 행정을 효율화하고, 의회 제도의 전신인 국정협의회와 섭정원을 설치하였다. |
교육 | 학교 교육을 시작하였다. |
인프라 | 라차담누 운하 및 주변을 정비하고, 방콕에서 나콘랏차시마까지 철도를 부설하였다. |
통신 | 전화 업무를 시작하였다. |
4. 1. 개요
쭐랄롱껀 대왕(라마 5세)은 왕족들을 유럽으로 보내 교육시킨 최초의 시암 왕이었다. 19세기 유럽에서는 민족주의가 번성했고 더 많은 자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왕족들은 프랑스와 같은 공화국과 영국과 같은 입헌군주제에서 접한 민주주의와 선거에 대한 자유주의적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1884년(랏타코신 연호 103년) 유럽에 있던 시암 관리들은 쭐랄롱껀에게 유럽 열강으로부터 시암의 독립에 대한 잠재적 위협을 경고했다. 그들은 시암이 메이지 시대 일본처럼 개혁되어야 하며 시암이 입헌군주제가 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쭐랄롱껀은 시기상조이며 자신이 이미 개혁을 하고 있다고 말하며 거절했다.
쭐랄롱껀의 통치 기간 동안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작가들의 작품이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 중 하나는 17년 동안 투옥되어 감옥에서 시암 전통 사회를 비판하는 많은 작품을 제작한 티안완 와나포였다.
쭐랄롱껀은 즉위하자마자 유럽과 미국을 시찰 여행하여 태국의 후진성을 실감하고, 차크리 개혁이라 불리는 여러 개혁을 단행했다. 태국 3대 왕 중 한 명으로, 현재도 국민들에게 인기가 높아 초상화가 목걸이와 포스터로 만들어지고, 동상이 불단에 모셔지기도 한다. 1999년에는 미국의 『타임』지에서 "이 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인 20인" 중 한 명으로 태국인 중 유일하게 선정되었다.
4. 2. 주요 개혁 내용
쭐랄롱꼰은 왕궁과 중국 반란의 위협에서 벗어나 근대화와 중앙 집중화 개혁을 시작했다.[11] 1887년 서구식으로 장교를 훈련시키기 위해 왕립 육군사관학교를 설립하여 강화된 군대를 통해 국가를 중앙 집중화할 수 있는 더 큰 권력을 얻었다.15세기 이후 크게 변하지 않았던 시암의 정부는 중앙 정부는 시암 북부를 통치하는 '사무하 나욕'(총리)과 시암 남부의 문민 및 군사 문제를 모두 관할하는 '사무하 칼라홈'(대장군)이 이끌었고, 사무하 나욕은 '차투 사돔'(네 기둥)을 관할했다. 각 기둥의 책임은 중복되고 모호했다. 쭐랄롱꼰은 1888년 각 부처로 구성된 정부를 설립하기 시작했고, 1892년 각 부처가 동등한 지위를 갖는 부처들이 설립되었다.
국무원은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거나 쭐랄롱꼰에게 조언을 할 수 없었다. 쭐랄롱꼰을 자신의 지위를 훨씬 뛰어넘는 절대 군주로 여겼기 때문이다. 쭐랄롱꼰은 1894년 국무원을 완전히 해산하고 자문 업무를 내각으로 이관했다.
쭐랄롱꼰은 서구인의 눈에는 비인간적이고 야만적으로 여겨졌던 기존의 나콘 발라 고문 방식을 사법 절차에서 폐지하고 서구식 사법 제도를 도입했다. 그의 벨기에 고문인 귀스타브 롤랭 자크미는 현대 시암 법과 사법 제도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1897년 짜오파야 쭐랄롱꼰(라마 5세)은 몬톤을 중심으로 하는 계층적 행정 체계를 수립했다. 이는 감소하는 순서대로 주, 시, 암퍼, 탐본, 무반(마을)로 구성되었다. 각 몬톤은 내무부의 관리인인 감독관의 감독을 받았다. 이는 모든 지역 왕조의 권력을 종식시켰다. 중앙 정부의 권한이 감독관의 행정을 통해 전국으로 확대되었고, 북부의 란나 지역은 란나 국왕들의 존재를 무시하고 두 개의 몬톤으로 만들어졌다. 지역 통치자들은 1901년에 세 차례의 반란을 일으켰지만, 1902년에 모두 진압되었고 시 통치자들은 권력을 박탈당하고 투옥되었다.[13]
쭐랄롱꼰은 시암 노예 제도(ทาส) 폐지를 그의 주요 업적으로 남겼다. 1874년, 쭐랄롱꼰은 1867년에 태어난 가정 노예의 속량 값을 낮추고 21세가 되면 모두 해방시키는 법을 제정했다. 1905년, 노예 해방법은 모든 형태의 시암 노예 제도를 종식시켰다.
전통적인 역참 제도는 보링 조약 이후 쇠퇴했지만, 쭐랄롱꼰은 귀족의 권력을 무너뜨리기 위해 몬톤 제도가 수립된 후 정부에 이용 가능한 모든 남성을 계산하기 위한 인구 조사를 실시했다. 1900년의 고용법은 모든 노동자에게 임금을 지급하고 강제 노동을 금지했다.
쭐라롱꼰은 1887년 국방부를 설립했다. 부역 제도의 종식은 군사 징병의 시작을 필요로 했고, 1905년 시암의 징병법이 제정되었다. 1907년에는 계엄령을 선포할 수 있는 최초의 법률이 제정되었다.[14]
태국 왕실 측량국은 토지등록을 위한 소유권을 정의하고 공평한 세금 부과를 위해 특정 토지 구획을 조사하는 지적조사를 수행했다. 토지 소유권 증서는 토렌스 토지등기 제도를 사용하여 발급되었지만, 이 조사의 첫 번째 성과는 1901년에야 얻어졌다.[15]
1873년, '왕립 시암 정부 관보'(Royal Siamese Government Gazette)는 절 폐지에 대한 공고를 발표했다. 쭐랄롱꼰 국왕은 "시암에서의 절은 매우 압제적"이라며 폐지하고, 존경을 표현하기 위해 절을 하는 새로운 형태를 제시했다.[16]
시아(Siam)에서 철도 건설은 국가 전체를 연결하여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인 동기가 있었다. 1901년, 방콕에서 코랏(Korat)으로 가는 최초의 철도가 개통되었다. 같은 해, 시암 최초의 발전소가 전기를 생산하기 시작했고, 전기등이 도로를 처음으로 밝혔다.
1907년 그는 왕실 벼 품종 경연대회를 창설했다.[18][19]
쭐랄롱꼰의 차크리 개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공공연하게 행해지던 노예 매매를 오랜 시간에 걸쳐 폐지했다.
- 각 지역의 왕을 폐지하고 중앙집권 국가를 건설했다.
- 관료제를 도입하여 행정을 효율화했다.
- 의회 제도의 전신이 되는 국정협의회와 섭정원을 설치했다.
- 학교 교육을 시작했다.
- 라차담누 운하와 그 주변을 정비하고, 방콕에서 나콘랏차시마까지 철도를 부설했다.
- 전화 업무를 시작했다.
4. 3. 몬톤 시스템

1897년 짜오파야 쭐랄롱꼰(라마 5세)은 영국 식민지 여행 중 경험과 담롱 친왕의 제안을 바탕으로 몬톤을 중심으로 하는 계층적 행정 체계를 수립했다. 이는 주, 시, ''암퍼'', ''탐본'', ''무반''(마을) 순으로 구성되었다. (단, 동부 주인 내륙 캄보디아 전체 몬톤은 1906년 프랑스에 할양되었다.) 각 몬톤은 내무부 관리인인 감독관의 감독을 받았다. 이는 모든 지역 왕조의 권력을 종식시켜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중앙 정부의 권한은 감독관의 행정을 통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북부 란나 지역(방콕에 조공을 바친 치앙마이 왕국, 람빵, 람푼, 난, 프레 공국 포함)은 란나 국왕들의 존재를 무시하고 두 개의 몬톤으로 만들어졌다.
지역 통치자들은 권력을 쉽게 내놓지 않았다. 1901년 프레의 냐오 반란, 1901~1902년 이산의 성직자 반란[13], 남부의 칠왕 반란 등 세 차례의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들은 모두 1902년에 진압되었고, 시 통치자들은 권력을 박탈당하고 투옥되었다.[13]
5. 외교 관계
당시 버마와 말레이시아는 영국에, 베트남은 프랑스에 각각 점령당해 있었다. 샴(태국)도 위협받았지만, 라마 5세는 영국에 말레이 반도의 일부를, 프랑스에는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할양함으로써 독립을 유지했다. 이는 샴을 완충지대로 독립시켜 두는 것이 영국과 프랑스 양국에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12]
1898년 네팔과 국경에 가까운 인도 북부에서 영국의 주재관이 석가모니와 그 일족의 유골(불사리)을 담은 항아리를 발견하자, 인도를 통치하던 영국 정부는 불교국인 샴의 라마 5세에게 이를 양도했다. 라마 5세는 그 유골의 일부를 버마, 실론, 일본 등의 불교 국가에 분여하는 등 아시아 여러 국가와의 관계 구축에도 힘썼다. 이때 일본에 양도된 유골을 안치하기 위해 창건된 것이 覺王山日泰寺이며, 경내에는 라마 5세의 상도 설치되었다.[4]
5. 1.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와의 갈등
1887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복속시켰다.[12] 1888년, 프랑스군은 헤오 반란군을 진압하기 위해 라오스 북부를 침략했지만 철수하지 않았고, 프랑스는 더 많은 라오스 땅을 요구했다.1893년, 루앙프라방의 프랑스 부영사 오귀스트 파비는 메콩강 동쪽의 모든 라오스 땅 할양을 요구했다. 시암은 이 요구에 반발하여 1893년 프랑스-시암 분쟁이 발발했다. 프랑스 군함 '르 뤼탱'이 차오프라야 강으로 진입하여 프랑스 영사관 근처에 정박하여 공격 태세를 갖추었다. 라오스에서는 전투가 벌어졌고, '앙콩스탕트'와 '코메트'가 차오프라야 강에서 공격을 받았다. 프랑스는 3백만 프랑의 배상금과 라오스에서의 철수 및 라오스 할양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으나, 시암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시암은 1893년 라오스를 할양하여 문제를 해결했지만, 프랑스군은 찬타부리와 트랏에 주둔하며 철수를 거부했다.[12] 1904년 프랑스-시암 조약이 체결되어 프랑스군은 찬타부리에서 철수했지만, 트랏에서 코 콩까지 해안 땅을 유지했다. 1906년 최종 합의로 트랏은 시암에 반환되었지만, 프랑스는 코 콩을 유지하고 내부 캄보디아를 받았다.
당시 버마와 말레이시아는 영국에, 베트남은 프랑스에 각각 점령당해 있었다.[12] 샴(태국)도 위협받았지만, 라마 5세는 영국에 말레이 반도의 일부를, 프랑스에는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할양함으로써 독립을 유지했다. 이는 샴을 완충지대로 독립시켜 두는 것이 영국과 프랑스 양국에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5. 2. 영국과의 관계
버마에서 영국군이 꼰바웅 왕조와 싸우는 동안, 시암(태국)은 중립을 지켰다. 영국은 시암 정부와 협정을 맺었는데, 이 협정에는 영국이 버마와 갈등을 빚을 경우 시암이 영국군에 식량을 공급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쭐랄롱꼰 국왕은 이 협정을 준수했다. 영국은 그가 버마를 물리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군대를 파병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1]아유타야 시대 이후 샴 당국은 말레이 술탄국들을 상당 부분 지배해 왔다. 술탄들은 샴의 영향력에 대한 균형추로서 영국의 지원을 구했다. 1909년 1909년 영국-샴 조약이 체결되었다. 네 개의 술탄국(케다, 켈란탄, 트렝가누, 펄리스)이 샴의 법적 권리와 남부 샴의 철도 건설 자금 대출을 대가로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2]
당시 버마와 말레이시아는 영국에 점령당해 있었다. 샴(태국)도 위협받았지만, 라마 5세는 영국에 말레이 반도의 일부를 할양함으로써 독립을 유지했다. 이는 샴을 완충지대로서 독립시켜 두는 것이 영국에 바람직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3]
1898년 네팔과 국경에 가까운 인도 북부에서 영국의 주재관이 석가모니와 그 일족의 유골(불사리)을 담은 항아리를 발견하자, 인도를 통치하던 영국 정부는 불교국인 샴의 라마 5세에게 이를 양도했다. 라마 5세는 그 유골의 일부를 버마, 실론, 일본 등의 불교 국가에 분여하는 등 아시아 여러 국가와의 관계 구축에도 힘썼다. 이때 일본에 양도된 유골을 안치하기 위해 창건된 것이 覺王山日暹寺(현재의 각왕산일태사)이며, 경내에는 라마 5세의 상도 설치되었다.[4]
5. 3. 기타 외교 활동
버마와 말레이시아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에, 베트남은 프랑스에 각각 점령당해 있었다. 샴(태국)도 위협받았지만, 라마 5세는 영국에 말레이 반도의 일부를, 프랑스에는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할양함으로써 독립을 유지했다. 이는 라마 5세에 의해 어느 정도 근대화된 샴을 공공연히 점령하는 것은 문제가 있었던 점과, 샴을 완충지대로서 독립시켜 두는 것이 영국과 프랑스 양국의 사정에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던 점 등이 배경으로 작용했다.1898년 네팔과 국경에 가까운 인도 북부에서 영국의 주재관이 석가모니와 그 일족의 유골(불사리)을 담은 항아리를 발견하자, 인도를 통치하던 영국 정부는 불교국인 샴의 라마 5세에게 이를 양도했다. 라마 5세는 그 유골의 일부를 버마, 실론, 일본 등의 불교 국가에 분여하는 등 아시아 여러 국가와의 관계 구축에도 힘썼다. 이때 일본에 양도된 유골을 안치하기 위해 창건된 것이 覺王山日暹寺(현재의 覺王山日泰寺)이며, 경내에는 라마 5세의 상도 설치되었다.
6. 가족 관계
라마 5세 출라롱꼰 국왕은 많은 자녀를 두었다. 그는 생애 동안 9명의 왕비와 143명의 측실을 두었고, 그들 사이에서 32명의 아들과 44명의 딸을 낳았다.[46] 정처와 부처에 이복자매가 있었고, 측실을 포함한 부인의 수는 160명이 넘었으며, 자녀 수는 77명으로 역대 최고였다.[46]
7. 죽음과 유산
쭐랄롱꼰은 1897년과 1907년 두 차례 유럽을 방문했는데, 후반기에 생긴 신장병 치료를 위해서였다. 그의 최후의 업적은 1908년 도시 배관 체계를 정비한 것이었다.
쭐랄롱꼰 국왕은 1910년 10월 23일 두싯궁전의 암폰 사탄 레지던셜 홀에서 신장병으로 사망했고, 그의 아들 바지라부트(라마 6세)가 계승했다.[20]
쭐랄롱꼰 국왕의 재위 40주년을 기념하여 1908년에 왕실 쭐랄롱꼰 국왕 기마상이 완공되었다. 파리의 금속 세공사가 청동으로 주조했다.
1917년 태국 최초의 대학으로 설립된 쭐랄롱꼰 대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캠퍼스에는 라마 5세와 그의 아들 라마 6세의 동상이 서 있다. 태국 적십자사가 운영하는 쭐랄롱꼰 국왕 기념 병원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태국에서 가장 큰 병원 중 하나이다.
1997년, 스웨덴 라군다에 쭐랄롱꼰 국왕을 기리는 쭐랄롱꼰 국왕 기념 건물이 세워졌다. 이는 1897년 쭐랄롱꼰 국왕이 스웨덴을 방문하고 1897년 브뤼셀 만국박람회를 방문했던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21] 스웨덴-노르웨이 국왕 오스카르 2세가 의회를 위해 노르웨이로 여행하는 동안, 쭐랄롱꼰은 북쪽으로 올라가 산림을 연구했다. 헤르네산드에서 시작하여 솔레프테오와 라군다를 거쳐 우타네데(Utanede)라는 작은 마을에서 보트를 타고 순드스발을 거쳐 스톡홀름으로 돌아왔다.[22] 그의 우타네데 통과는 한 거리가 국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될 정도로 마을에 흔적을 남겼다. 기념관은 그 도로 옆에 세워져 있다.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유통된 14차 시리즈의 구 100바트 지폐에는 라마 5세와 라마 6세의 동상이 뒷면에 새겨져 있다. 2005년에는 100바트 지폐가 개정되어 해군 제복을 입은 쭐랄롱꼰 국왕과 배경에 노예 제도 폐지 장면이 그려졌다.[23] 2015년에 발행된 16차 시리즈의 1,000바트 지폐에는 쭐랄롱꼰 국왕 기념비, 아난다 사막홈 홀(Ananda Samakhom Throne Hall), 노예 제도 폐지가 그려져 있다.[24]
쭐랄롱꼰은 1999년 타임 아시아 매거진이 선정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인 20인" 중 한 명이었다.[25]
참조
[1]
서적
Louis and the King of Siam
http://archive.org/d[...]
London : Chatto & Windus
1976
[2]
서적
The English Governess at the Siamese Court
http://www.kellscraf[...]
James R. Osgood
2011-12-01
[3]
웹사이트
Captain John Bush, 1819–1905
https://web.archive.[...]
Christ Church Bangkok
2011-12-01
[4]
서적
Lords of Life; a history of the Kings of Thailand
http://archive.org/d[...]
London: Alvin Redman
1967
[5]
웹사이트
Chulalongkorn
https://web.archive.[...]
YourDictionary
2011-12-01
[6]
학술지
Concubines with Cameras: Royal Siamese Consorts Picturing Femininity and Ethnic Difference in Early 20th Century Siam
http://quod.lib.umic[...]
2015-07-08
[7]
웹사이트
ระบบภาษีไทยในวันที่โลกเปลี่ยน : คุยกับ ปัณณ์ อนันอภิบุตร
https://www.the101.w[...]
2017-09-20
[8]
서적
พระพรหมช่วยอํานวยให้ชื่นฉ่ำ: เศรษฐกิจการเมืองว่าด้วยทรัพย์สินส่วนพระมหากษัตริย์หลัง 2475
https://books.google[...]
ฟ้าเดียวกัน
2014
[9]
웹사이트
จุฬาลงกรณ์ราชบรรณาลัย
https://kingchulalon[...]
2022-01-07
[10]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1]
학술지
Path to Centralization and Development: Evidence from Siam
https://www.cambridg[...]
2019
[12]
뉴스
Death For Bad Etiquette.; King of Siam Condemns a Member of His Suite to be Executed.
https://timesmachine[...]
1897-10-27
[13]
학술지
The 1901–1902 Holy Man's Rebellion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4-02
[14]
웹사이트
Martial Law, B.E. 2457 (1914) – unofficial translation
http://www.thailawfo[...]
Office of the Council of State
2014-05-21
[15]
서적
Twentieth century impressions of Siam
Lloyds Greater Britain Publishing Company
2011-10-07
[16]
뉴스
Chulalongkorn abolished prostration
http://www.newmandal[...]
2011-05-14
[17]
학술지
Concubines with Cameras: Royal Siamese Consorts Picturing Femininity and Ethnic Difference in Early 20th Century Siam
http://quod.lib.umic[...]
2015-07-08
[18]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21-08-30
[19]
웹사이트
Rice Breeding and R&D Policies in Thailand
http://ap.fftc.org.t[...]
2021-08-30
[20]
뉴스
Siam in Mourning.
https://eresources.n[...]
2022-12-13
[21]
웹사이트
HM King Chulalongkorn's 1897 Journey to Europe
https://web.archive.[...]
WordPress
2018-07-06
[22]
서적
Kung Chulalongkorns Norrlandsresa 1897
Fors hembygdsförening
[23]
웹사이트
100 Baht Series 15
https://web.archive.[...]
2016-06-16
[24]
웹사이트
1,000 Baht Series 16
https://web.archive.[...]
2016-06-16
[25]
웹사이트
Chulalongkorn
http://edition.cnn.c[...]
CNN
[26]
PDF
https://web.archive.[...]
2022-03-01
[27]
웹사이트
Royal Thai Navy - Detail History
https://www.navy.mi.[...]
[28]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Guía Oficial de España
2019-03-21
[30]
웹사이트
Guía Oficial de España
2020-07-28
[31]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London
[32]
학술지
The Royal Tourist—Kalakaua's Letters Home from Tokio to London
https://web.archive.[...]
1881-05-12
[33]
웹사이트
Nor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34]
웹사이트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35]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36]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00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19-09-16
[37]
웹사이트
ราชทูตอิตาลีเฝ้าทูลละอองธุลีพระบาท ถวาย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
http://www.ratchakit[...]
[38]
웹사이트
ข่าวทูตรุสเซียฝ้าทูลละอองธุลีพระบาทถวาย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
http://www.ratchakit[...]
[39]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Unione tipografico-editrice
[40]
웹사이트
O Rei Chulalongkorn do Sião Visitou Portugal
http://www.aquimaria[...]
2020-05-20
[41]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Königreich Sachsen: 1901
Heinrich
[42]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43]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4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Bayern
https://archive.org/[...]
[45]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Herzogtums Braunschweig für das Jahr 1908
Meyer
[46]
서적
A History of Thai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8-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